추천 글 10

방어기제 - 취소(Undoing)개념과 예시

취소는 베일런트에 의해 신경증적인 방어기제로 분류되었다. 취소는 건전하지 못한, 위협적인 행동(혹은 생각) 등을 반대의 행동을 통해서 이전의 행동을 취소하려는 방어기제이다. 예를 들어 누군하에게 폭력을 행사하겠다는 생각을 하거나 폭력을 휘두른 뒤에, 그 사람에게 지나치게 친절해지거나 협조적으로 행동하는 현상이다. 즉, 취소는 결국 과거의 생각이나 행동을 만회하려는 행동을 의미한다. 취소는 프로이트가 발견한 몇가지 방어기제 중 하나이기도 하다. 프로이트는 '취소'를 1909년에 "강박증 사례 기록"에 처음 묘사하였다. 그는 그의 환자가 어떻게 그의 아가씨의 마차가 길의 바위에 뒤집힐 수 있다는 생각에 바위를 원래 자리인 길 한가운데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는 의무감이 들었다고 기록한다. 프로이트는 그가 사랑해..

정신분석 2019.10.21

방어기제 공상(Fantasy), 그리고 멜라니 클라인의 판타지

공상은 베일런트의 분류에 따르면 미성숙한 방어기제에 속한다. 공상은 주체의 특정 욕망이나 목표를 상상하는 상황을 말한다. 때때로는 가능성이 거의 없는 상황을 상상하기도 한다. 베일런트는 그의 방어기제의 연구에서 미성숙한 방어기제의 대표적인 예로 보았다. "미성숙한 방어기제인 공상은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처럼, 실제로 친구를 만들고 직장에서 성공하려고 노력하는 대신에, 상상만 하는것이다" 극단적인 공상은 자기애적 성격장애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그리고 베일런트는 공상을 많이하는 사람은 가까운 친구가 많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공상은 사람의 회복을 돕는, 기운을 차리게 하는 이로운 측면이 있다. 프로이트도 공상을 방어기제로 보았다. 그는 사람들이 현실로부터 갈취할 수 있는 얼마 안되는 만족으로는 ..

정신분석 2019.10.20

방어기제 - 승화(Sublimation)의 개념과 이를 보는 몇가지 시각

승화는 성숙한 수준의 방어기제로 분류된다. 승화는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을 만 한 충동을 용인될 만 한 행동으로 변화시킨다. 이때, 첫 용인되지 원래의 충동은 영구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승화가 성숙함과 문명의 특징이라 생각했다. 승화가 사람들이 문화적으로 받아들여질 만 한 방식으로 행동하게끔 하는 원동력이라 믿었다. 그는 승화를 본능을 더 높은 사회적 가치로 방향을 돌리게끔 하는 과정이라 정의했다. 특히 문화적 발달의 눈에 띄는 특징이라 서술했다. 이것이 과학적, 예술적, 이데올로기적 운동 등의 더 숭고한 행동을 가능하게 만드는 문명속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 서술했다. 프로이트는 승화의 아이디어를 Heinrich Heine의 소설 The Harz Journey를 읽..

정신분석 2019.10.17

방어기제 - 해리(dissociation)의 개념과 다양한 수준의 예시

해리는 베일런트에 의해 신경증적인 방어기제로 분류되었다. 즉, 세상과 관계하는데 중심적인 기제로 사용되면 사는데 지장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해리 현상의 가장 주요한 특징은 정신증에서의 현실감각 상실(loss)과는 다른 현실로부터의 '분리'(detachment)다. 해리는 주변환경으로부터의 즉각적인 가벼운 수준의 분리부터 물리적, 감정적 경험으로부터의 심각한 수준의 분리까지 다양한 수준에서 발생 가능하다. 따라서 이건 가볍고 저건 중증이고 하는 식으로 구분하기보다는 연속적인 스펙트럼 상에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가벼운 수준의 해리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처기제나 방어기제라 할 수 있다. 지루함이나 갈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병적이지 않은 일반적인 수준에서의 가장 강한 해리 현상은 백일몽이라고..

정신분석 2019.10.16

방어기제 - 억압(Repression) 아주 낱낱히 파헤치기

억압은 정신분석의 중심 개념이다. 정신분석에서 억압이란 의식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물을 무의식에서 의식으로 진입할 수 없도록 막는 방어기제로써 이해된다. 따라서 억압이 일어나면, 불안의 원인(기억, 욕망 등)을 의식하지 못하게 된다. 물론 억압한 사실 자체도 무의식적이다. 정신분석 이론에 의하면 억압은 일반인의 정신에서도 작용하지만 많은 정신질환의 주요한 역할을 한다. 억압에 예를 들어보자면 아동기에 특히 힘든 일(트라우마 등)을 겪은 아이들은 종종 특정 나이대의 기억을 좀처럼 떠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아주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이런 사례가 종종 발견된다. 정말로 기억의 억압이 일어나는지 (혹은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꾸준한 논쟁이 있어왔다. 주류 심리학계는 진정한 기억의 억압은 ..

정신분석 2019.10.16

방어기제 - 행동화(행위화)와 정신분석적 맥락에서의 행동화

방어기제의 정의가 어린시절 불안을 다루는 방식이었던 방어 과정이 성장한 뒤에도 수정되지 않은 경우를 지칭하는 한, 행동화는 어린아이가 언어화할 수 없는 마음 상태를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행동화는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환자가 한번도 말로 표현해 본 적이 없거나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어떤 경험을 행동으로 드러내는 방어기제를 의미한다. 방어기제로써 사용되는 행동화의 예를 들자면, 히스테리 환자는 고통스러운 시나리오를 행동화함으로써 수동을 능동으로 뒤집어 무력한 경험을 주체적으로 힘을 행사하는 경험으로 바꾼다. 이런 행동화는 자기파괴적일 수도 있으며, 성장 지향적일 수도 있다. 행동화가 항상 자기파괴적인 것은 아니지만 자기파괴적인 경우, 상담가는 환자의 행동화를 언어화하는 것을..

정신분석 2019.10.13

방어기제 - 반동형성의 개념과 예시

반동형성은 신경증적 방어기제로 분류된다. 신경증적 방어기제에는 해리, 치환, 주지화, 억압등이 포함되어 있다. 반동형성은 감정과 충동들이 불안(불쾌함)을 일으키거나 자신이 감정이나 충동을 받아들이지 못할 때 반대되는 감정이나 충동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어떤 감정이나 충동이 자아에 불쾌한 종류의 자극을 가하면 자아는 그것의 반대되는 감정이나 충동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불편한 충동을 감추려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람에 대한 증오가 자아를 불안하게 한 경우에 자아는 불쾌함의 원인인 증오를 감추기 위하여 애정을 촉진시킬 수 있다. 반동형성을 사용해서 자아를 방어하는 경우 원래의 감정은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무의식에 유아적인/충동적인 형태로 유지된다. 위의 예처럼 애정이 증오에 대한 반동으로써..

정신분석 2019.10.13

방어기제 - 치환(전치)를 예를 들어 쉽게 설명해봤다.

정신분석 이론에서 치환(전치로 번역되기도 함)은 위험하거나 수용할 수 없는 것으로 느껴지는 목표를 비교적 만만한 새로운 목표나 대상으로 대체하는 무의식적 방어기제 입니다. 치환의 개념화는 프로이트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처음에 그는 그것을 중요한 요소에서 중요하지 않은 요소로 강조의 이동을 포함하는 꿈 왜곡이나 단순한 환상으로 무언가를 대체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프로이트는 이것을 "악센트의 치환"이라고 불렀습니다. 한 사람과 연결된 감정이 다른 사람에게 옮겨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볼 수 있습니다. 사무실에서 힘든 하루를 보낸 한 남자가 집에 돌아와 아내와 아이들에게 소리를 지르며 직장에서 보낸 분노를 가족에게 전가하고 있습니다. 프로이트는 동일한 방식으로 아이들이 동물 공포증이 있을 때 부모에 대한 두려..

정신분석 2019.10.11

방어기제- 정동의 고립(isolation)

*정동: 충동적인 감정 이것은 불쾌하거나 위협적인 정동과 생각이나 감정 사이에 거리를 만드는 정신적 작업을 수반한다. 다른 생각과 연상의 연결을 최소화 함으로써, 위협적인 기억, 감정등이 떠오르게 되었을때, 정동으로 인한 자신감이나 자신에 대한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낮춘다. 프로이트는 이 개념을 예를 들어 묘사하였다: 연속적인 생각을 다른 주제로 넘어가기 전에 잠시 정지시키는 것이다. 그의 이론은 의식과 거리를 벌림으로써 그는 그 인상이나 활동이 다른 생각과 연상적인 접촉을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상징적으로 이해된다고 한다. 즉, 해로운 생각에 방어로써, 고립은 이 상처입히는 인식들이 다시 등장하거나 스스로를 상처입히는것을 예방할 수 있는것이다. 넓은 범위의 연구가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생..

정신분석 2019.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