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기제 - 승화(Sublimation)의 개념과 이를 보는 몇가지 시각

헬스디어 2019. 10. 17. 11:45

승화는 성숙한 수준의 방어기제로 분류된다.

승화는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을 만 한 충동을

용인될 만 한 행동으로 변화시킨다.

이때, 첫 용인되지 원래의 충동은

영구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승화가 성숙함과 문명의 특징이라 생각했다.

승화가 사람들이 문화적으로 받아들여질 만 한 방식으로

행동하게끔 하는 원동력이라 믿었다.

 

다이버와 뇌산호

 

그는 승화를 본능을 더 높은 사회적 가치로

방향을 돌리게끔 하는 과정이라 정의했다.

특히 문화적 발달의 눈에 띄는 특징이라 서술했다.

이것이 과학적, 예술적, 이데올로기적 운동 등의

더 숭고한 행동을 가능하게 만드는 문명속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 서술했다.

 

 

프로이트는 승화의 아이디어를

Heinrich Heine의 소설 The Harz Journey를 읽다가 떠올렸다.

이 책의 주인공은 어릴적

마주한 개의 꼬리를 호기심을 자른 적이 있다.

그리고 이 소년은 커서 외과의사가 된다.

 

이런 소설내용으부터

프로이트는 승화를 충동의 직접적 만족과

안정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이라 결론지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심리적 에너지가 제한된 수준으로만 표현이 허용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에너지를 제한하는 것은 사회와 문명이다.

개인이 심리적으로 균형을 잡기 위해선

제한당한 에너지의 다른 배출구가 필요하다.

승화는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를

사회적으로 유용한 업적들로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웨이드와 트라비스는 비슷한 관점을 제시했다.

승화는 치환이 문화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유용한 목적에 기여하는 상황이라 주장하였다.

치환이 발명이나 예술 등에 기여하는 경우를 승화로 본 것이다.

 

안나 프로이트는 자신의 저서 자아와 방어기제에서

승화를 자아의 주요한 방어기제로 분류하였다.

 

대인관계 정신분석학의 선구자인 해리스택 설리반은,

승화는 사회와 주변 사람들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목표를

부분적으로만 추구하도록 무의식적으로 대체하는 것이라 정의한다.

이 과정에서의 승화는 주체가 그다지 원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안정감을 느끼면서 조금이나마 만족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설리반은 모든 승화된 목표들은 승화 전의 직접적인 목표보다 더 복잡해진다고 서술한다.

승화 자체는 의식되지 못하며

승화된 목표가 왜 이루어져야 하는지,

어떤 목표가 희생되는지 주체는 인식하지 못한다.

 

설리반은 성공적인 승화에서, 아주 효과적으로

만족과 안정감 사이의 갈등을 다루게 되는 상황을 관찰하였다.

 

 

방어기제 목록 바로가기

 

 

 

 

 

다른 곳에 이 글을 공유해보세요!

Naver Blog
Kakao Story
Facebook
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