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소공포증은 불안장애로 분류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발생한다.
폐소공포증은 일반적으로 두가지의 주요한 증상을 가진다.
"제한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질식에 대한 두려움."
제한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몇가지 사소한
것들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시킬수도 있다.
예를들어 MRI촬영에 대한 두려움이나, 심한경우에는 가게의
줄에 서서 기다리는 것에도 두려움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제한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제대로 숨쉴 수 없게 되는것,
산소부족등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런 감정을 촉발시키는것은 반드시 좁은 공간만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밀폐된 공간에서 일어날 확률이 더 크다.
진단
폐소공포증은 도망갈곳이 없다는 것과 작은
밀폐된 공간에 있는것에 대한 공포증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불안장애이며,
공황발작으로 이어질수도 있다.
공포증으로 진단받기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특정 상황의 존재나 특정 상황을 예상하는
것으로부터 발생하는 공포가 발생함."
"자극에 노출되었을때 불안반응을 보임.
공황장애나 감정의 폭발, 울음,
사람에게 매달림 등을 보이게 될 수 있음"
"공포가 예상되는 위협이나
위험으로부터 나온다는 인정(성인)"
"해당 물체나 상황을 피하기 위한 절차를 따름.
혹은 불편함이나 불안감을 띈 채로 상황을 마주함"
"해당 상황이나 물체를 회피하는
성향이 일상생활과 관계를 방해함"
"공포를 느끼게 된 상황이 6개월 이상 지속됨."
"증상이 PTSD나 강박장애로부터 나온것이 아님."
원인
뇌의 부위중 편도체는 공포를 조건화하는데
필요한 곳이며, 공격-도피 반응을 만드는 곳이다.
공격-도피 반응은 고통스러운 상황과 연결되었을때 발생한다.
Cheng은 공포증의 뿌리는 이 공격-도피반응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 반응이 발생하면서, 편도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편도체의 전위 핵이 서로 연결된다.
핵은 다른 핵에게 충동을 보내는데, 이는 호흡의 빈도,
신체적 흥분, 아드레날린 분비, 혈압, 심박수,
공포반응, 방어반응등에 영향을 미친다.
방어반응에는 얼어붙는것이 포함된다.
이 반응들은 공황발작을 구성한다.
폐소공포증은 트라우마적인 아동기
경험의 결과로써 자주 나타난다.
아동기가 아니어도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경험은 정신에 영구적인 인상을 남긴다.
트라우마적인 경험에는 이런 예들이 포함될 수 있다.
-아이가 완전히 어두운 방에 갇혀서 문이나 스위치를 찾지 못함
-아이가 상자에 갇힘
-아이가 옷장에 갇힘
-아이가 깊은 물에 빠진 경험이 있으
-아이가 큰 군중 속에서 부모를 잃은적이 있음
-광산에 며칠동안 갇힌적 있음
치료
인지치료
인지치료는 대부분의 불안장애에 사용되는 요법이다.
특히 상황 자체보다는 상황이 특정 결과로 이어질것이라는
두려움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인지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두려운 것에
대한 왜곡된 생각들을 수정하는것이다.
그러한 조정은 특정 상황의 회피를
줄이고 불안을 감소시킨다.
S.J Rachman의 연구에 따르면 30%의 폐소공포증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방법인 것이 증명되었다.
노출요법
이 방법은 그들이 겪는것이 무엇이든 완전하게
공포에 노출되는것을 강제하는 요법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천천히 강도를
높혀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많은 연구들이 이 요법에 공포증에
효과적이라는것을 보증한다.
S.J. Rachman은 이 요법을 통해 75%의 환자의 부정적인
생각과 공포를 감소시켜 이 요법의 효율성을 검증했다.
이게 현재 가장 효과적인 요법이다.
다른 곳에 이 글을 공유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