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기제 - 합리화(Rationalization)의 개념과 예시

헬스디어 2019. 10. 23. 09:27

합리화는 베일런트에 의해 신경증적 방어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세상과 관계하는데 중심적인 기제로써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인간관계, 직업 그리고 삶을 살아가는데에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다.

 

 

합리화는 다양한 의식적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합리화는 문제되는 행동이나 감정을

주체에게(만) 합리적이거나 논리적으로 보이는 방식으로

진실된 동기를 인식하는 것을 회피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스스로에게도 불쾌한 행동, 감정은 합리화를 통해 의식에서 용인할 수 있게 된다.

심지어는 우월하고 존경할만한 아이디어로 보이게 될 수 있다.

 

 

 

합리화는 두 단계를 거쳐 발생한다.

 

  1. 선택, 행동, 판단이 특정 이유 때문에, 혹은 자신도 모르는 이유 때문에 발생한다.
  2. 행동에 앞선 이유를 합리화하기 위한 시도로써 합리적이거나 논리적으로 '보이는' 이유를 만들어낸다.  

합리화는 비합리적이거나 용인할 수 없는 행동, 동기, 감정을 격려하고

자주 애드혹* 오류를 범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애드혹: 가정이나 이론이 논파되지 않기 위해서만 존재하는 궤변. 주로 이론의 예외를 설명하기 위해 쓰임.

 

 

예시들

실망하지 않기 위해 합리화를 하기도 한다.

 

  • "내가 지원한 일에 합격하지 못했지만, 애초에 원한 일도 아니였어."

과실을 인정하지 않기 위해, 부정적인 결과를 인식하는것을 줄이기 위해 합리화를 하기도 한다.

 

  • 비난에 대해서: "최소한 [비난받은 행위보다 심각한 행위] 하지는 않았어"
  • 가짜 선택의 형태로:"[원치않는 행동]을 하는 것은 [더 심한 행동]하는 것보다는 나아"
  • 부당한 일을 당했을 때: "그들이 나를 이렇게 대하는 것을 보니 내가 뭔가를 잘못했나 봐"

 

정신분석에서, 어니스트 존스는 1908년에 "합리화" 라는 용어를 처음 정신분석에 도입했다. 그는 합리화를 "인식되지 않은 행동이나 태도의 동기에 이유를 만들어 내는 것"

으로 정의했다.

이는 거의 즉시 지그문트 프로이트에게

신경증 환자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졌다.

 

 

정신분석가들이 무의식의 동기를 탐구하는 동안, 오토 페니첼은 합리화를 분류했다.

  • 비합리적인 본능적 행동을 합리적이거나 도덕적으로 타당하다고 합리화 하는 행위
  • 어떻게든 논리적 의미를 가진다고 의식되지 않은 방어기제의 동기를 왜곡(합리화) 하는 행위

이후 정신분석가들은 합리화를 성숙해가는 과정의 하나로 보는 긍정적인 시각과,

생각으로부터 오는 분열이기 때문에, 주체는 합리성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게

된다는 더 부정적인 시각으로 입장의 차이가 벌어졌다.

 

 

DSM-IV(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에서 합리화는

"개인들이 진정한 동기를 숨김으로써 감정적인 갈등이나 내적, 외적 스트레스 요인을 대면할때,  스트레스를 줄여주거나 스스로를 위로하지만 부정확한 설명을 하는 것"

으로 정의되었다.

 

방어기제 목록 바로가기

 

 

 

 

 

 

 

 

 

 

 

다른 곳에 이 글을 공유해보세요!

Naver Blog
Kakao Story
Facebook
Twitter